NTT DoCoMo는 스마트 표면을 6G의 핵심으로 보고 있습니다.
홈페이지홈페이지 > 블로그 > NTT DoCoMo는 스마트 표면을 6G의 핵심으로 보고 있습니다.

NTT DoCoMo는 스마트 표면을 6G의 핵심으로 보고 있습니다.

Jun 06, 2023

스마트 표면 기술이 6G 무선의 핵심 중 하나가 될 수 있을까요? 6G 네트워크는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많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매우 저렴한 송신기와 수신기의 밀집된 클러스터가 필요합니다.

NTT DoCoMo는 이동하는 모바일 장치에 신호를 동적으로 리디렉션하는 메타표면 반사기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운영자는 18개월 전에 미국에 본사를 둔 Metawave 및 일본 회사 AGC와 함께 실험실 시험을 진행했으며 현재는 높은 처리량의 실내 6G에 메타표면이 중요하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DoCoMo의 6G-IOWN 홍보 부서 총괄 책임자인 Takahiro Asai는 Light Reading에 "이것은 일종의 반사체입니다. RIS(재구성 가능한 지능 표면)의 반사 각도를 조정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슬라이드 팩에서 DoCoMo는 신호등, 유리창, 가로등과 같은 기존 물체를 모두 RIS로 배포하여 기존 안테나 기술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소형 셀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DoCoMo가 메타표면을 작업하는 유일한 회사는 아니지만, 메타표면을 작업한 최초의 운영자였습니다.

주요 벤더와의 6G 시험

Asai는 6G에 대한 새로운 스펙트럼을 여는 것도 주요 우선순위라고 말했습니다. "100Gbit/s와 같은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려면 subTHz와 같은 더 높은 스펙트럼 대역을 활용해야 합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Sub-THz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Midband도 중요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그러나 그는 10GHz 정도의 많은 미드밴드 공간이 이미 다른 산업에 의해 점유되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DoCoMo는 주요 벤더들과 함께 6G 시험을 진행해 왔습니다. AI 기반 인터페이스와 THz 미만 전송에서는 Nokia, 미드밴드 무선 인터페이스와 THz 미만 다중 빔 인터페이스에서는 Ericsson과 함께 6G 시험을 진행해 왔습니다.

25Gbit/s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144GHz 캐리어를 통해 단일 256QAM 스트림에서 빔포밍을 사용하여 Nokia와 POC를 완료했다고 합니다. 또한 현지 플레이어인 NEC 및 Fujitsu와 함께 분산 MIMO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Asai는 현재 업계의 주요 임무는 6G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DoCoMo가 6G가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 고밀도 커버리지, 낮은 대기 시간, 높은 신뢰성 및 낮은 에너지 소비로 대규모 연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회사는 2026년에 6G 표준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2028년 제안 마감일, 2029년 또는 2030년 초 표준 완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관련 게시물:

� Robert Clark, Light Reading 특별 기고 편집자

주요 벤더와의 6G 시험 관련 게시물: